3명 대 30명
“미국에 있는 (한국인)직원 3명이 하는 일을 한국에 있는 직원 30명이 한다.”
미국과 한국에 많은 직원을 두고 양국을 오가며 동시에 사업을 하고 있는 분에게 들은 얘기다. 이 말이 처음에는 믿기지 않았다.
그런데 그 분의 얘기를 하나하나 들어보니 납득이 갔다. 스마트폰관련용품을 판매하는 이 회사는 주로 아마존 같은 온라인쇼핑몰이나 베스트바이 같은 오프라인 유통업체를 상대로 제품을 납품, 판매하는데 미국에서는 모든 것이 잘 표준화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운송장, 인보이스 등을 표준화된 포맷으로 만들어 보내주면 아마존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통업체에 납품, 배송 등 모든 것이 한번에 끝이다. 디지털화가 잘 되어 있다. 그래서 한명이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그렇지 않다. 공급물량은 아마존의 수십분의 일도 안될 온라인쇼핑몰, 유통회사마다 다 다른 포맷으로 일을 진행한다. 수작업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판매물량이 표준시스템으로 자동으로 공유되는데 한국의 거래처는 종이표를 사진으로 찍어서 카톡으로 보내주는 식이란다. 얼마되지 않은 판매량이라도 전산으로 관리하려면 그 종이를 인쇄해서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입력해줘야 한다.
그러니까 미국에서는 수백억의 매출을 한사람이 소화하는데 한국에서는 한명이 수십억매출 처리하기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그 회사는 미국시장에서 판매량을 높이는데 가장 노력을 기울인다고 한다.
이 이야기를 듣고 보니 지난번에 한 온라인음악업체에서 들은 비슷한 얘기가 생각난다. 해외의 음원업체들은 표준화된 시스템에 맞춰 음원을 온라인음악회사에 보내주는데 한국의 음원업체들은 다 제각각이라 매번 수작업으로 작업하느라 고생한다는 것이다. FTP로 보내기도 하고, 웹하드로 공유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이메일 첨부파일로 음원을 보내준다고 한다. 그것을 받아서 또 태그달고 정리해서 올리는데 드는 리소스가 만만치 않게 든다.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해외에 비해 떨어지는 것은 이런 이유도 클 것이다. 조직운영과 업무를 표준화, 디지털화해서 효율화하는데 있어서 한국의 경영진과 업계의 노력이 해외에 비해서 많이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싶다. 전세계가 무섭게 빠르게 디지털, 모바일경제로 변해가는 지금 이런 관행은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을지도 모른다.
이제 좀 IT강국이란 말은 그만하자. 인터넷속도만 빠르면 뭐하나 일은 수작업으로 하는데…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dk
2015년 12월 25일 at 7:29 pm
그렇네요 , 일전에 자동차 회사의 경우도 현대차 한국과 미국의 생산성에 대해서도 비교한 내용이 있었습니다만 , 이전 미국 출장시 점심시간에도 별도의 시간을 정해 놀지 않고 알아서 최대한 시간을 Save 해서 업무를 마무리 하는 모습들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한국도 식사는 하겠지만 그 시간을 12-1시 혹은 12;30 ~ 1;30 으로 잡아둘 필요가 있는지 생각해 볼일 입니다.. 신속히 처리 하는데로 오후나 저녁에 다른 효과적인 일이나 취미 활동을 하는 것도 좋을 수 있다고 보여 집니다만 …
rapael99
2015년 12월 25일 at 8:16 pm
15년된 ERP를 돌리는 저희회사가 생각납니다…스마트할래야 스마트 할 수 없는 구조
yeshooni
2015년 12월 26일 at 4:33 pm
한국도 크로노스 그룹같이 표준을 만드는 단체가 필요할 것 같네요…
STAFF
2015년 12월 27일 at 11:01 am
한국은 아무리 좋은 프로세스의 기업용 시스템을 들여와도 자기가 기존에 하던 방식과 다르면 무조건 나쁜 시스템입니다
이런 마인드의 연장선에 과도한 커스터마이징으로요구하는 갑질도 생깁니다
한국의 B2B 솔루션이나 기업이 세계시장에서 안먹히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순타이
2015년 12월 28일 at 12:46 am
[…] 3명 대 30명 […]
2015.12.28 월 Domingo News | Domingo Company
2015년 12월 28일 at 10:53 am
동감입니다. 높으신 분들이 시스템화보다는 주먹구구식으로 일처리하는데 익숙하다보니 생산성과 효율성은 뒷전인 경향이 분명 있어요. 시스템만 잘 갖춰져도 시간과 비용을 훨씬 절약할 수 있는데… 다만 고용창출이라는 장점 아닌 장점도 있는 것 같긴 합니다.
Jaeho Shin
2016년 2월 26일 at 12:31 pm
US Dream Venture Supporters에서 이 항목을 퍼감.
mjohnns
2016년 2월 28일 at 10:19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