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in Wars of SNS:체크인 전쟁에 돌입할 SNS
오늘 점심을 먹으러 인근에 있는 중국집에 갔다. 만날 사람을 기다리는 동안 요즘 버릇이 된 Foursquare 체크인을 시도했다.
별 문제없이 Check-in! 요즘은 GPS로 위치연동을 해서 레스토랑DB를 서제스트해주기 때문에 체크인하기가 휠씬 수월해졌다. (물론 거짓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람들이 abuse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시스템인듯)
그런데 생각해보니 얼마전에 Yelp의 아이폰앱도 Check-in을 지원한다는 뉴스가 기억이 나서 한번 실행해봤다.
Nearyby 버튼을 누르니 제일 위에 지금 있는 레스토랑이 떠올라서 선택하니 바로 정보가 나온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아랫부분에 ‘Check In Here’라는 버튼이 나온다는 것. 예전 버전에는 확실히 없던 것이다.
미국의 레스토랑이나 펍 등에서 아이폰으로 Yelp평점을 검색해 보는 유저의 수는 엄청날 것이다.(경험상 Yelp의 평점이 가장 신뢰도가 높은 편이다) 그런데 GPS위치와 장소가 일치하면 (오차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모르겠지만) 자동으로 Check-in버튼을 보여주는 것 같다. 체크인수를 비약적으로 늘리겠다는 Yelp의 결연한 의지가 보이는 듯 하다. 별 생각없이 “이게 뭐야?”하고 체크인버튼을 눌러보는 유저들도 많을테니까.
체크인하면 바로 보스턴에서의 랭킹을 보여준다. 경쟁심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Foursquare와 시스템이 비슷하다. 포스퀘어 창업자 데니스크라울리가 화를 낼만하다. ㅎㅎ
어쨌든 Yelp가 바라는 바는 명확하다. 이제는 로컬DB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그 특정 업소에 방문한 유저 정보까지 쌓아올리겠다는 것이다. 이 정보가 쌓이면 쌓일수록 더욱더 막강한 입체적인 로컬정보가 될 것임은 자명하다.
만약에 한국이라면 어떨까? 명동의 맛있는 스파게티점에서 점심을 먹은 사람이라면 분명히 식사후에 인근 커피숍이나 찻집을 찾아서 느긋한 시간을 즐길 것이다. 스파게티점에서 체크인하는 순간 인근의 맛있는 찻집정보를 제시한다면? 특별할인 쿠폰을 제시한다면?
만약에 저녁에 대치동의 갈비집에서 동료들과 소주한잔을 기울인다면… 그러면서 이런 SNS를 통해 체크인한다면? 대부분의 직장인은 고기집이 끝나면 2차로 인근 호프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체크인한 유저에게 인근 맥주집이나 바 등을 잘 추천해주면 큰 비즈니스기회가 생길 것이다.
나도 역시 포스퀘어로 체크인하면서 요즘은 습관적으로 Tips버튼을 눌러보는 버릇이 생겼다. 근처에 어떤 정보가 있는지 궁금해서 찾아보는 것이다.
눌러보니 점심을 먹은 중국집 근처의 업소에 대해 다른 포스퀘어 유저들이 올린 Tip을 공유해준다. 이것을 보고 근처에 Conley’s라는 바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식사를 마치고 운전하면서 나가다 보니 맞은 편에 Conley’s라는 간판이 보인다. “스테이크&치즈샌드위치가 맛있고 맥주 한잔할 수 있는 바“라는 정보가 포스퀘어를 통해 나에게 이미 입력되어 있다.^^
(실제로 이 바의 포스퀘어 페이지를 보니 체크인한 사람은 얼마 안된다)
어쨌든 이런 경험을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있어 앞으로 유저의 ‘위치’정보를 확보하는 ‘체크인 전쟁’이 벌어질 것을 예감할 수 있었다. 이제 곧 페이스북도 어떤 형태로든지 유저의 현재위치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서 내놓지 않을까 싶다.
점심먹으면서 문득 떠오른 생각을 간단히 공유해봤다.ㅎㅎ
사족 : Yelp, Urbanspoon 등 로컬정보를 제공하는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회사와 집근처의 맛집정보를 쭉~ 훑은 덕분에 웬만한 맛있는 집 정보는 머리속에 다 들어있다. 간혹 여기 계신 분들이 “맛있는 곳 소개해 줄께”라고 이야기해서 “어디인데요?”하고 들어보면 거의 90%는 내가 이미 Yelp를 통해서 찾아낸 곳이더라… 알고 있다. 가봤다고 하면 대개 어떻게 알았냐며 깜짝 놀란다.ㅎㅎ
소비로 유도하는 소통에 대해 좀 더 고민해볼 수 있는 내용인거 같아
매우 유익한 것 같습니다
우영
2010년 1월 19일 at 7:07 pm
감사합니다.
estima7
2010년 1월 20일 at 12:16 am
한국에서도 이런 sns가 주류를 이룰 날이 곧 올 것 같습니다. 유저들 입장에서는 공인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즉각적인 수단을 얻게 되는 것이지요. 아이폰에 이어 안드로이드가 물꼬를 틀 것이니 빨리빨리 대한민국의 장점으로 순식간에 진화가 될 것으로 믿습니다.
sleeperBus
2010년 1월 19일 at 7:38 pm
네 금새 재미있는 서비스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ㅎㅎ
estima7
2010년 1월 20일 at 12:16 am
재미있네요, 잘읽었습니다 ^^
골룸
2010년 1월 19일 at 7:48 pm
가볍게 제 경험을 소개한 글입니다. 재미있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estima7
2010년 1월 20일 at 12:16 am
그렇군요. ^^ 유저가 어디 있는지 모바일기기가 알고 있다는 것이 이렇게 큰 위력을 발휘할 줄은 몰랐어요. Tech는 정말 감을 잠을 수가 없는 듯합니다.
여담이지만 개인적으로 딱딱하지 않는 이런 글이 참 읽기편해 마음에 듭니다.^^
redreamer
2010년 1월 19일 at 9:29 pm
그러게요. 저도 처음에는 포스퀘어같은 서비스의 잠재력을 간과하다가 문득문득 이런 깨달음(?)을 얻을때가 있습니다ㅎㅎ 이런 생각을 공유할 수 있어서 즐겁네요ㅎㅎ
estima7
2010년 1월 20일 at 12:17 am
하하..
사실 지인들 몇 사람과 위치기반 서비스를 몇개월 전부터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지금까지의 yelp나 foursquare랑은 차별성이 있지만..
에스티마님께서 말씀하신 내용과 중첩되는 부분이 꽤 있습니다.
꼭 몰래 시험공부하다 들킨 기분이네요.
재빠르게 해야겠다는 생각에 더 불타오르네요.
Hyunsik Choi
2010년 1월 19일 at 9:50 pm
다들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스피드가 생명입니다ㅎㅎ 잘 되길 빕니다.
estima7
2010년 1월 20일 at 12:18 am
에스티마님의 트윗이나 블로그에서 항상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Hyunsik Choi
2010년 1월 20일 at 12:24 am
사생활침해라는부분이 반대편에서 고개를 들겠지만 네트워킹의 베네핏을 생각한다면 활성화될수밖에없겠죠 대신 누가 그 정보들을 좀더 쉽고 직관적인인터페이스로 다가가냐가 아닐까생각했습니다 글 잘읽었습니다^^*
Greema
2010년 1월 20일 at 10:59 am
이제는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잘 관리하는 것도 덕목이 되겠네요. 어쨌든 편리하지만 무서운 세상입니다. 감사합니다.ㅎㅎ
estima7
2010년 1월 20일 at 11:53 am
체크인의 의미가 참으로 크군요.
단순히 위치에 대한 기록을 넘어 위치와 시간’의 결합을 이끌어내겠군요. 서비스는 점점 실시간화 추세로 가고…위치와 시간이 모든 서비스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할 날도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무튼 좋은 정보와 함께 들려주시는 훌륭한 통찰에도 늘 감사드리며….행복한 하루 되시길….^^
이家 LEE
2010년 1월 20일 at 8:25 pm
네, 저도 체크인의 의미를 간과하다가… 어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어서 짧게 적어본 것입니다. ㅎㅎ
estima7
2010년 1월 20일 at 9:09 pm
[…] Check-in Wars of SNS:체크인 전쟁에 돌입할 SNS […]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의 무한한 가능성? « pinkred's mobile program
2010년 4월 1일 at 3:28 am